카테고리 없음

2025 뉴욕 한류박람회 성과와 한류 확산 전략

T-Blog-000 2025. 11. 10. 23:05

뉴욕 한류박람회 개요와 역사적 의미



2025 뉴욕 한류박람회는 북미 최초로 개최되어 335개 기업과 2만여 명의 관람객이 참여하며 성황리에 마쳤습니다. K-콘텐츠 인기와 연계한 수출 상담 1,390건 및 1,100만 달러 계약 성사로 한류의 경제적 시너지를 입증했으며, 특히 "케데헌" 열풍으로 북미 시장 진출 기반을 공고히 했습니다. 향후 말레이시아 등 글로벌 거점 확대를 통해 K-소비재 수출 다변화 전략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경제적 성과와 수출 성과 분석



2025 뉴욕 한류박람회는 현장에서 1,100만 달러 규모의 수출계약 및 MOU 체결과 1,390건의 수출상담 성사로 북미 시장 공략의 전략적 성과를 입증했다. 특히 K-뷰티가 2024년 美 수입화장품 시장 1위를 기록한 데 이어, 2025년 1~10월 K-푸드 플러스 수출액이 112억 4천만 달러(5.7% 증가)를 달성하며 한류 콘텐츠와 소비재의 시너지 효과가 본격화되고 있다. 현대홈쇼핑, W컨셉 등 11개 국내 유통망의 동반 참여와 한류스타 공연을 접목한 옴니채널 마케팅은 현지 소비자 접점 확대의 새로운 모델로 주목받으며, 향후 말레이시아 등 글로벌 거점 확대를 통한 수출 다변화 전략의 초석이 되었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통한 한류 확산 효과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글로벌 흥행은 한류박람회 운영 전략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했다. 2025년 7월 서울 외국인 관광객 136만 명(전년 대비 23.1%↑) 기록과 연간 828만 명 누적 방문은 케데헌 열풍의 직접적 영향으로 분석된다. 특히 독일에서 OST 2주 연속 1위 달성 등 다국적 문화 확산이 K-소비재 수출 다변화 기반을 공고히 했으며, 향후 말레이시아 한류박람회를 통한 신흥 시장 공략 전략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한류박람회 운영 전략과 향후 전망



2025 뉴욕 한류박람회는 B2B 수출상담회(1,390건), B2C 소비재 쇼케이스, 첨단 한류체험관 등 5대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K-콘텐츠와 소비재의 시너지를 극대화했다. 홀로그램으로 구현된 홍보대사와 넷플릭스 협업 "홀로그램 포토부스", 에스파 한복 체험존이 관람객의 높은 참여를 이끌었으며, 커버넌트하우스 기부를 통한 CSR 활동으로 사회적 책임을 실천했다. 향후 12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한류박람회를 시작으로 캄보디아, 카자흐스탄 등 신흥 시장 확대로 수출 다변화를 추진하고, K-컬처 기반 1조 달러 수출 시대를 앞당길 계획이다.